목록음력 (2)
행복하고, 즐겁고, 신나게
역학, 사주명리학-사주는 음력을 사용하나요? 우리 민족은 물후력, 음력, 절기력, 간지력을 사용하던 중 1986년 1월 1일부터 양력을 사용하였습니다. 물후력은 주변의 자연환경이나 동물의 이동을 보고 계절을 추론합니다. 제비가 돌아온 것을 보고, 개나리가 핀 것을 보고 "봄"을 압니다. 음력은 달이 변하는 모습을 기준으로 만든 역입니다. 절기력은 지구의 공전 과정을 24개로 구분하여 이름을 붙였습니다. 입춘, 하지, 소서. 입추, 동지 등 한 달에 두 개의 절기가 있습니다. 태양을 기준으로 구분했기 때문에 양력과 같습니다. 간지력은 지구의 원운동(자전, 공전) 과정을 음양오행의 기운을 기준으로 구분하여 간지로 표시하였습니다. 즉 사주, 사주팔자로 시간을 표시했습니다. 사주명리학에서 활용하는 시간입니다. ..
"60갑자,사주팔짜,사주팔짜보기"-사주명리학 지구의 자전과 공전 인간이 지구에 출현하기 전부터 지구는 일정한 속도로 자전과 공전의 원운동을 하였습니다. 자전과 공전의 과정을 문명의 발생지마다 다양한 기호를 사용하여 '시간'으로 활용하였습니다. 하루의 시작과 일 년의 시작도 서로 달랐습니다. 문명이 발달하면서 세계가 이웃같이 살게 되면서 시간을 구분하는 기호나 시작과 끝이 통일되었습니다. 지금은 대부분 양력을 사용하며, 하루 24시간, 일 년 365일을 사용하고 있습니다. 우리나라는 1896년부터 양력으로 통일하였습니다. 황하 문명에서는 지구의 원운동 과정을 양력, 음력, 24절기, 60갑자 등 다양하게 구분하여 시간으로 활용하였으며,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. 60갑자는 지구의 원운동 과정을 10개의 ..